1. 청소년기의 정서적 특성
1) 격렬함과 동요성
⦁친구나 부모의 이야기로 쉽게 분노하며 얼굴을 붉히고 슬픔에 잠김
⦁이기적인 데서 이타적으로 되며 자기 정서에 대해 이해하고 심미적 정서를 즐기며 정서적 긴장을 해소하는 방법을 익히고 사회적 통제를 이해하게 되면서 반항도 감소함
2) 정서의 자극대상의 변화
⦁아동기는 사회적 학습과정에서 불쾌한 정서자극(불쾌한 것을 강요당하는 것, 벌, 열등감등)을 받는 반면, 청소년기는 무능력감과 불안정감을 일으키는 대상(죽음, 부모의 싸움, 친구를 잃는 것, 학교에서의 실패 등)에 대해 정서자극을 받음
3) 정서표현의 내면화
⦁정서가 의식적으로 억제되어 분노가 초조감이나 혐오감으로, 공포심이 불안이나 우울로, 기쁨이나 환희가 행복감으로 이행됨
⦁억압된 강렬한 정서의 해소방법으로 자살을 하는 경우도 있음
4) 개인차가 다양하고 두드러짐
⦁성공과 실패, 흥미, 사회적 요인 등으로 인해 정서가 자극되지만, 어느 정도 일 때 어떤 정서가 자극되는가는 개인차가 있음
2. 청소년의 사회적 발달
⦁청소년기는 부모로부터 분리되어 독립성과 자율성을 획득하려고 시도하는 시기이다. 따라서 청소년을 통제하려는 부모와의 관계에서 잦은 갈등이 일어나고, 가족생활보다는 동성친구나 이성친구등과의 또래집단 활동에 몰두하는 경향이 있음
1) 부모로부터 개별화
<청소년의 개별화>
- 청소년이 부모와 정서적인 유대를 지속하면서 자신을 부모와는 다른 독특한 한 사람의 인격체로 인식하고 경험해 가는 심리적 과정
· 개별화의 영향으로 애착대상이 부모에서 친구로 바뀌며 부모와는 상이한 가치관이나 생각들을 하게 되고 그것을 내면화하게 됨
· 이러한 청소년의 개별화 노력은 성인으로 독립하는 데 있어 절대적으로 필요한 요소임
· 부모들이 이러한 과정을 자연스런 성장과정으로 인정하지 않고 부모에 대한 도전이나 반항으로 인식할 경우 부모와 자녀 간의 갈등이 증폭될 수 있음
2) 동성이나 이성친구 등 또래집단에 몰입
- 청소년기 이전부터 또래 관계는 유지되어 오지만 청소년기에 들어서는 그 이전과 구별되게 서로 간에 심리적으로 관여하는 정도가 매우 깊어지고, 비밀을 털어놓을 수 있는 친밀한 관계를 형성함
- 비슷한 발달단계에서 비슷한 경험을 하고 있는 또래와의 관계는 청소년으로 하여금 자신의 정체감을 형성하고 유지하는데 필요한 심리적, 사회적 지지를 얻게 함
- 동성친구와의 경험을 통해 적절한 성역할 행동규범을 배우고, 신체적 변화를 자신의 성정체감에 통합시키며, 성적 충동을 조절하게 되고, 성인이 되었을 때의 남녀역할에 대한 사회적 기대를 수용하게 됨
<청소년의 또래집단>
· 청소년의 생각이나 행동의 준거 틀
· 친구가 이상적 기준을 마련해주고, 자존감을 조절하며, 자신의 충동을 조절하는 대상
· 친구나 또래집단이 자신의 정체감이나 몸에 대한 이미지를 판단하는 거울
· 또래집단에 수용되고 인정받고 싶은 욕구로 인해 집단의 행동양식을 추구하는 경향
[청소년 개입 시 고려해야할 점]
① 발달은 개인차 뿐 아니라 개개인에 있어서도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측면에서 발달이 동시에 그리고 동일한 속도로 일어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해야 함
② 보편적인 특성을 근거로 청소년 개개인의 독특한 경험과 개별성을 고려하는 것과 함께 청소년의 임파워먼트를 강화시킬 수 있는 발달특성이 무엇인지를 발견하는 작업을 병행해야 함
3. 청소년의 영적 발달
⦁[영성(spirituality)]
- "인간의 세속적 또는 종교적 상황에서의 자신의 실제적 자아에 대한 의미, 연결됨과 깨달음을 추구하는 것"
⦁[영성적 발달(spirituality development)]
- "인간의 영성에 대한 발달과정"
⦁청소년기에는 영성적, 종교적 개념을 이해하기 시작하며 이를 통해 인생관을 정립해나감
⦁청소년기는 영성을 공부하고 실천하는데 특히 중요한 시간을 보낸다. 영성은 청소년이 삶의 의미를 인식하고 구축하는 데 중심역할을 함
⦁청소년 시기는 비분석적, 종합적, 관습적 신앙단계로, 형식적 논리의 사고를 할 수 있는 초기의 능력과 함께 종교적 상징을 사용할 수 있고, 또 자기가 인식해 왔던 신앙의 주제에 보다 적극적인 이해를 추구함으로써 이것을 통합하고자 함
⦁청소년인 종교적 통찰이 가능해져서 종교에 대한 강한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내기도 함. 이러한 부정적 태도는 종교에 대한 강압이나 강요, 과학과 종교의 거리감으로 실제로 자신의 삶과 관계되지 않는 다는 것을 느낄 때 보여 짐
⦁영적 발달과 함께 청소년의 개인적 신앙에서도 의심과 문제가 많은 시기임 자아에 대한 눈을 떠가면서 개인 속에 죄악감, 생사문제, 삶의 보람 문제 등이 의식되어 종교의식과 연결되기도 함
⦁청소년기는 영성과 종교에 대한 관심이 나타내게 되는 동시에, 종교에 대해서는 비판적이고 부정적인 시각을 소유하게 됨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소년 복지 #외국 청소년의 복지 동향 #일본 (0) | 2022.04.13 |
---|---|
#청소년 복지 #외국의 청소년 복지 동향 #미국 (0) | 2022.04.12 |
#청소년 복지 #청소년 복지 접근방법 (0) | 2022.04.11 |
#청소년 복지 #청소년 복지 접근방법 (0) | 2022.04.10 |
#청소년 복지 #청소년의 발달적 특징 (0) | 2022.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