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소년 발달2

#청소년 복지 #청소년 발달의 이론 ⦁청소년기에는 여러 가지 변화가 다양한 영역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이를 설명하는 이론적 관점이 매우 다양함. 특히 청소년 발달에 관한 이론들은 왜 청소년이 그러한 행동이나 심리적 특성을 갖는지에 대한 이유를 설명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청소년의 행동이나 심리적 특성을 예측하는데 유용함. 1. 동양전통사상과 청소년기 ⦁동양의 전통사회에서 청소년이라는 단어가 등장하지는 않지만, 그 시기에 해당하는 연령대를 언급하면서 발달단계상의 역할을 제시 - 논어(論語) · 15세, 학문에 뜻을 두는 시기(志學), 인격 수양과 완성을 위한 학문에 뜻을 두는 나이 - 예기(禮記) · 사람이 태어나서 10년이면 유(幼)라고 하여 이때부터 배우기 시작함. 청소년기는 배우기 시작하는 나이인 유(幼) 이후로부터 갓을 쓰기 시작함... 2022. 4. 15.
#청소년 복지 #청소년 발달적 특성 1. 청소년기의 정서적 특성 1) 격렬함과 동요성 ⦁친구나 부모의 이야기로 쉽게 분노하며 얼굴을 붉히고 슬픔에 잠김 ⦁이기적인 데서 이타적으로 되며 자기 정서에 대해 이해하고 심미적 정서를 즐기며 정서적 긴장을 해소하는 방법을 익히고 사회적 통제를 이해하게 되면서 반항도 감소함 2) 정서의 자극대상의 변화 ⦁아동기는 사회적 학습과정에서 불쾌한 정서자극(불쾌한 것을 강요당하는 것, 벌, 열등감등)을 받는 반면, 청소년기는 무능력감과 불안정감을 일으키는 대상(죽음, 부모의 싸움, 친구를 잃는 것, 학교에서의 실패 등)에 대해 정서자극을 받음 3) 정서표현의 내면화 ⦁정서가 의식적으로 억제되어 분노가 초조감이나 혐오감으로, 공포심이 불안이나 우울로, 기쁨이나 환희가 행복감으로 이행됨 ⦁억압된 강렬한 정서의 해.. 2022. 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