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청소년복지의 발전적 접근
1. 문제중심적 관점과 비판
1) 청소년을 강점이나 자원으로 보기보다는 문제나 희생자의 한 부분으로 보는 것이 다수의 관점이었음
2) 특히 대중매체가 다루는 아동은 희생자적 관점이 많으며, 청소년은 폭력적이거나, 약물중독, 10 대 임신, 학교중퇴, 가출 등의 문제가 되는 대상으로 서술하는 것이 지배적임
3) 청소년이라는 개념은 사회적으로 만들어진 개념으로, Hall 이라는 학자가 청소년기를 ‘질풍노도의 시기’ 라고 보면서 시작된 개념
4) 이러한 질풍노도적 견해가 점차 사회 일반에 내면화되면서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해 일하는 전문가들도 청소년은 하나의 해결되어야하는 문제아 또는 구제되어야 하는 희생자로 보는 관점이 일반화되었음
2. 강점관점과 청소년개발의 전개
1) 아동과 청소년에 대한 문제중심적 관점이 모두 잘못된 것만은 아님
2) 그러나 이러한 문제중심적 이해가 지나치게 지배적이었다는 것
문제중심적 접근 | |
청소년의 '사회적 활력 (social agency)'를 방치 |
사회는 청소년들이 계속해서 긍적적 궤도에 있도록 하는 중요한 기회를 상실 |
3) 문제중심적 견해들이 비판되면서 예방적 접근법(prevention approach)들이 점차 강조되기 시작
4) 이러한 예방적 접근법은 문제가 생기고 난 뒤에 해결하려고 애쓰기보다는 문제가 생기기 전에 예방하는 것이 비용효과적이고 효율적일 수 있다는 이해에서 비롯된 것
5) 지난 수십 년간 전개되어 온 청소년에 대한 긍정적 관점과 문제중심의 관점에 대한 비평은 점차 아동과 청소년을 위해 일하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청소년들의 강점과 긍정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 대안적 접근법의 힘을 인식하게 만듦
6) 발전적 접근들은 청소년을 문제와 희생으로 보는 견해와는 달리, 청소년을 강점, 자산, 잠재성 및 자원을 가진 존재로 봄
7) 이러한 관점은 청소년이 직면하고 있는 많은 문제들이 청소년 개인 자신들의 강점, 가족, 그리고 지역사회에서 그 해결책을 발견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였음
3. 강점관점의 발전과 특징
1) 강점(strength)
(1) 역사적으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사용되어 왔지만, 그것이 하나의 관점으로 개념화되어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980 년대 이후 사회복지분야에서 였음
(2) 청소년을 정신분석학적, 치료적, 정신보건적 진단 및 해결을 중심으로 보는 시각은 청소년 자체를 병리학적으로 이해하도록 촉진하였다는 비판이 이시기에 시작된 것
⦁이러한 시각은 예방적 접근법이 강조되는 틀을 마련
2) 최근에 강조되어온 적극적 접근법으로서의 강점관점은 어떤 문제해결을 위해 문제
⦁자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오히려 문제해결을 더 어렵게 할 수 있다는 인식을 기반으로 대두된 것
3) Saleebey 의 강점관점의 본질
(1) 3P : 가망성(Promise), 가능성(Possibility), 긍정적 기대(Positive expectations)
(2) 3C: 역량(Competence), 능력(Capacities), 용기(Courage)
(3) 3R: 레질리언스(Resilience), 준비성(Reserve), 자원(Resources)
4) 강점관점
(1) 인간의 의미, 활기 및 능력에 관심을 둠
(2) 따라서 이러한 강점관점을 개발하는 일은 개인과 동시에 지역사회의 잠재성을 극대화 하는 것에 이바지 함
(3) 강점관점에서 개인을 둘러싼 환경적 요소들은 개인을 위한 기회의 원천이며 자원의 수를 증대시킨다고 봄
(4) 이러한 점에서 강점관점은 지역사회관심에 대해 지역사회해결책을 개발하는데 기존의 자원들을 찾아내고, 동원화하고, 재강화하고 또 증대시키는데 이바지 함
4. 청소년개발의 관점과 원리
1) 청소년개발의 관점은 청소년을 관리될 수 있는 문제로서가 아니라 개발될 수 있는 자원으로 봄
2) 이 관점은 청소년들을 서비스를 통해 개발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개인적이고 생태적인 자산성을 소유하고 있는 존재로 전제하고 그들의 건강한 삶의 기회를 증대시키려고 함
3) 청소년개발 관점이 예방적 관점과 구별되는 점은 청소년개발은 문제가 발생하거나 위기상황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긍정적 발달과 청소년의 건강과 안녕에 기여하는 조건들을 적극적으로 주장하는데 있음
4) 청소년개발은 “ 모든 청소년들이 그 시기 전반을 통해 욕구에 부응하고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경험하는 과정” 으로 정의될 수 있음
5) 청소년개발은 건강한 조건의 존재를 특히 강조하고 건강이란 개념을 기술(skill), 친사회적 행태 및 앞으로의 고용, 교육, 시민생활에서 성공하는데 필요한 역량을 포함하는 것으로 확대함
II. 강점관점과 청소년개발의 접목
1. 강점관점과 청소년개발의 원리들이 종래의 문제 중심적 접근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예방적 접근법의 한계점을 지적하고 있음
2. 기존의 문제중심의 관점에 대한 비판에서 시작되었다는 점
3. 두 관점이 모두 결함중심의 기존 청소년에 대한 접근을 적극적 관점으로 전환하고 있음
4. 인간의 삶에서의 문제, 결점, 그리고 장애에 대해서는 부인하거나 적어도 침묵함
5. 인간의 실제에서 내적으로 그리고 환경적으로 자산과 강점을 추구함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 #청소년 복지 (0) | 2022.06.07 |
---|---|
#사회복지 #청소년 복지 (0) | 2022.06.06 |
#청소년 복지 #발전적 접근 (0) | 2022.06.01 |
#청소년 복지 #위기개입이론 (0) | 2022.05.31 |
#청소년 복지 #해결중심이론 (0) | 2022.05.30 |